RHEL/RHCSA v9 시험

RHCSA v9 준비 - 4. nmcli 명령어를 이용한 network 구성 및 bonding 설정 구성

싸비스 2023. 12. 3. 20:06
반응형

4. nmcli 명령어를 이용한 network 구성 및 bonding 설정 구성

 

 

nmcli con add type bond ifname bond0 con-name bond0 bond.options "mode=1, miimon=100" ipv4.addresses 192.168.100.100/24 ipv4.gate 192.168.100.1 ipv4.dns 8.8.8.8 ipv4.method manual

 

위 명령어에 대해 

더보기

con =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때 입력합니다.

add = 새로운 NIC을 추가 할때 쓰는 옵션 입니다.

mod(modify) = 기존구성에 추가 구성 할때 쓰는 옵션 입니다. ( 구성을 변경 할때도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

type = NIC 의 유형을 지정할때 쓰는 옵션입니다. EX) ethernet , wifi , bloetooth 등

ifname = 인터페이스의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con-name = 연결할때 사용하는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bond.options = 본딩 옵션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ipv4.addresses = ipv4 주소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ipv4.gateway = ipv4 게이트웨이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ipv4.dns = DNS 서버의 ipv4 주소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ipv4.method = ipv4주소 얻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타이핑시 Tab 키를 활용하여 바로작성도 가능하니 Tab 키로 오타를 피하세요.

 

위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아래 NIC 구성이 자동으로 완성이 됩니다.

 

cat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bond0.nmconnection

 

명령어 하나로 필요한 config 파일이 자동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해당 명령어는 RHEL8 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nmcli dev

 

nmcli dev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가상의 nic device bond0 가 생성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nmcli con mod ens160 master bond0
nmcli con mod ens224 master bond0

 

nmcli con mod [device] master [bonding device] 타이핑 하시면 본딩 구성이 마무리 됩니다.

명령어 하나로 쉽게 본딩 구성이 전부 완료가 되었습니다.

클릭시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RHEL9 버젼부터는 cd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경로로 바뀌게 됩니다.

cd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nmcli con up bond0 명령어 입력하여 bond0 NIC 부팅을 해주시면 됩니다.

nmcli con up bond0

 

 

cat /proc/net/bondding/bond0

위의 명령어를 쳤을때 저 화면밖에 보이지 않게 된다면 잘못 된것입니다.

 

ip a로 확인 결과 bond0 인터페이스가 DOWN 되어있습니다.

 

ncmli con dev up ens160
nmcli con dev up ens224
ncmli con dev up bond0

명령어를 입력하여 시스템 재가동을 완료 하였습니다.

 

 

 

비정상적으로 올라왔을때

cat /proc/net/bonding/bond0

전) 수정하기 전 bonding 상태

후) 수정 후 bonding 상태

 

본딩 구성이 잘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본딩 구성 완료.

 

 

RHCSA v9 준비 - 5. 호스트네임 설정 hostnamectl set-hostname

 

RHCSA v9 준비 - 5. 호스트네임 설정 hostnamectl set-hostname

5. 호스트네임 설정 hostnamectl set-hostname hostnamectl 명령어로 현재 설정된 hostname 확인할 수 가 있습니다. hostnamectl set-hostnaem RHCSAv9 hostnamectl set-hostname [값] 입력을 하시면 호스트네임 설정이 완료가

tkqltm.tistory.com

 

 

 

카카오톡 오픈채팅방도 운영중이니 자유롭게 참여 부탁드립니다 ~ ! ㅎㅎ

https://open.kakao.com/o/gffATvVf

 

서버/네트워크/인프라/클라우드 엔지니어 모임

#redhat #rhcsa #rhce #network #ccna #ccnp #devops #cloud #aws #server #서버엔지니어

open.kakao.com

 

반응형